경추 추간판탈출증은 흔히 '목디스크'라고 불리는 증상을 말합니다. 목에도 허리와 같이 등뼈(척추)와 등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있는데 이 디스크가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신경이 지나가는 길(척수강)로 돌출되어 나오게 되면 척수강에 있는 신경이 눌리게 되고 눌리는 신경에 따라 통증, 감각 이상, 근력 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병을 말합니다.
외상에 의해 갑자기 생기는 수도 있지만 퇴행성 변화에 의하여 서서히 증상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디스크란 등뼈(척추)들의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일종의 물렁뼈입니다. 디스크는 사람이 생활을 하면서 충격을 받으면서 조금씩 물 성분(수분)이 빠져 노인이 되면 푸석푸석할 정도로 변합니다. 나이가 들면서 몸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퇴행성 변화라고 하는데 이러한 디스크의 변성도 일종의 퇴행성 변화입니다.
디스크가 이러한 변성을 일으키면 바깥쪽에 있는 섬유륜에 금이 가고 점점 벌어지면 틈이 생깁니다. 한편 수핵에 가해지는 압력이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섬유륜에 생긴 틈을 통해 수핵이 신경이 지나가는 길인 척수강으로 빠져 나오게 되며, 이로 인해 신경을 압박하여 증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허리디스크
척추뼈 속에는 우리 몸의 충격을 흡수하는 디스크라는 부위가 있습니다. 그러나 오랜 기간동안 압박 당하거나, 부상, 갑자기 강한 힘을 사용하는 움직임 등으로 인해 이 디스크는 돌출되기도 하고, 작업상 장시간 앉아서 작업하는 경우 파열되기도 합니다.이 손상된 디스크는 주변 신경을 자극하여 통증을 유발하는데 이것이 소위 ‘디스크’라 불리는 ‘추간판 탈출증’ 입니다. 주로 요통과 허리 아래로 내려가는 하지 방사통이 나타나며 30~50세의 연령대에서 특히 주의하셔야 합니다.